부모의 1주택가 아파트 525,000,000원 이라는 가정하에 증여를 했을 때와 가족간매매로 했을 때, 들어가는 총 비용을 비교해 보았다. 어느 쪽이 더 유리한 지.
증여 | 가족간매매 | |
양도세 |
12억원이하 1주택 2년이상 거주 비과세 | 12억원이하 1주택 2년이상 거주 비과세 |
상속세 | 1 증여재산가액 525,000,000 입력값 2 채무부담액 450,000,000 입력값 3 증여세과세가액 75,000,000 증여재산가액 - 채무부담액 - 비과세액 등 + 가산액 4 증여재산공제 50,000,000 직계존속 공제액 5 과세표준 25,000,000 증여세과세가액 - 증여공제 - 수수료 등 6 산출세액 2,500,000 1억원 이하 세율 10%, 누진공제 0원 7 신고 세액공제액 75,000 자진신고하여 납부할 경우 3% 공제 8 증여세 2,425,000 최종 납부액(신고 세액공제 적용) |
|
취득세 | 1 시가표준액 525,000,000 입력값 2 취득세율 3.5% 주택 무상취득(증여) 취득세 3.5% 3 지방교육세 0.3% (취득세율 - 2%) × 20% 4 취득합계세율 3.8% 취득세 + 지방교육세 5 취득세 19,950,000 취득가액 × 합계세율 * 상속인 1가구 1주택 |
1 금액 525,000,000 입력값 2 시가표준액 525,000,000 입력값 3 취득세율 1% 6억 미만 주택 취득세 1% 4 지방교육세 0.1% 유상취득 지방교육세 10% 5 취득합계세율 1.1% 취득세 + 지방교육세 6 취득세 5,775,000 취득가액 × 합계세율 * 1가구 1주택 (1가구 2주택 : 44,100,000) * 조정대상지역 |
합계 | 22,375,000원 | 5,775,000원 |
※ 2022.8.12 이전 구매한, 조합입주권 또는 분양권, 오피스텔은 지방세 관련한 주택 수에 포함되지 않음.
반응형
'살아가는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모자식간 얼마까지 이자 없이 빌려 줄 수 있나? 증여세 없이 (0) | 2022.11.11 |
---|---|
임대 만료시, 확인해야 할 사항들 (0) | 2022.10.18 |
씨티카드 포인트 > 대한항공,아시아나 마일리지 변환 (0) | 2022.09.23 |
코로나 백신을 맞은 적 없는데 급하게 미국에 가야하는 경우 (0) | 2022.09.16 |
미국여행 전 코로나 백신 2차 접종 (0) | 2022.09.03 |